동북아 디아스포라 소개

동북아 디아스포라 소개

 Home › 동북아 디아스포라 소개 › 한인

 

한인

코리안 디아스포라 이주사

1860년대~1910년

  • 두만강과 압록강 경계인 함경도와 평안도의 주민들이 빈곤과 기아, 지배층의 억압을 피해 중국의 만주, 러시아의 연해주로 이주함. 이 시기의 특징 중 하나로, 근대적 의미의 노동이주가 시작되었음. 이들은 1902년 12월 22일 제물포항에서 갤릭호를 타고 1903년 1월 13일 하와이 호놀룰루에 도착, 하와이의 사탕수수 농장에서 계약 노동자로 일하게 됨.

1910년~1945년

  •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정책으로 토지 등 생산수단을 빼앗긴 농부와 노동자들, 그리고 항일독립운동가들이 러시아 연해주, 중국의 만주, 일본 본토와 사할린으로 이주함. 중국으로 이주는 간도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1932년 만주국 수립 이후에는 만주개척을 위해 한반도 남부지방의 사람들이 집단 이주 당함. 일본 본토 및 사할린 이주는 노동이주의 성격을 띠다가 1939년 이후부터 식민지 동원 정책에 의해 강제적인 이주가 이루어짐. 특히 사할린한인들은 1944년 태평양전쟁 말기에 사할린에서 일본 본토로 ‘이중징용’을 당하기도 함.

1945년 해방~1962년

  • 일본 식민지 해방 이후 조국으로 귀환한 이주자와 한국전쟁 이후 발생한 전쟁고아, 입양 등의 목적으로 주로 미국으로 이주함.

1966년~1977년

  • 한국과 서독정부는 특별고용계약을 체결하여 광부와 간호사들이 서독으로 파견되어 정착하게 됨.

1980년대 후반~1990년대

  • 1989년 ‘해외여행 자유화’ 이후 일본으로 이주하였으며, 1990년대에 들어서는 사업, 자녀교육, 거주 등의 목적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 지구촌 곳곳에 정착하게 되었음.

2000년대~현재

  • 1990년대 초 소련, 중국과 국교수립이 이루어지면서 사회주의 국가지역에 거주하고 있던 코리안 디아스포라들이 ‘귀환’하고 있음. 사할린에 거주하고 있던 한인들은 한국과 일본 간 영주귀국 사업이 합의되면서 주로 한인 1세대들이 조국으로 귀환(전국 22개 지역 및 시설에 약 4,000명이 정착함). 2007년 방문취업제의 도입으로 중국의 조선족과 러시아 및 CIS 지역에 살고 있는 고려인들이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귀환하고 있음.

코리안 디아스포라 이주루트

중국조선족 : 만주 집단 이주루트

  • 일본은 1932년에서 1937년까지 만주 개척과 항일독립운동을 약화시키기 위해 한반도의 삼남지방(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농민들을 집단 이주시켰다.
  • 만주 집단 이주루트 이미지
  • [만주 집단 이주루트 안내이미지]

고려인 :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루트

  • 스탈린은 일본의 만주침략 이후 소련과 일본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자 연해주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고려인들이 일본을 위한 간첩 행위를 할 것으로 간주하여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 조치를 취했다.
  •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루트 이미지
  •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루트 안내이미지]

재일코리안 : 강제징용 이주루트

  • 일본은 1937년 중일전쟁 이후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자 식민지 조선인에 대한 강제징용 정책을 추진했다. 강제징용으로 끌려간 조선인들은 후쿠오카, 야마구치, 나가사키, 오사카, 효고, 히로시마, 가나가와, 홋카이도, 오키나와 등의 탄광, 제철소에서 야만적인 노예의 삶을 강요당했다.
  • 강제징용 이주루트 이미지
  • [강제징용 이주루트 안내이미지]

사할린한인 : 이중징용 이주루트

  • 사할린한인 광부들은 태평양전쟁 말기인 1944년 8월에 일본으로부터 징용령을 받고 일본 본토의 나가사키, 이바라키, 후쿠시마, 후쿠오카의 탄광으로 전환배치, 이른바 ‘이중징용’을 당하게 되었다. 그 결과 사할린한인들은 또 다른 이산을 겪어야 했다.
  • 이중징용 이주루트 이미지
  • [이중징용 이주루트 안내이미지]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분포현황

  • 코리안 디아스포라는 2013년 기준 세계 각국에 산재해 있는 코리안 디아스포라는 총 7,012,492명이다.
    동북아시아에 3,466,632명, 동남아에 298,444, 북미에 2,297,425명, 유럽에 316,056명, 아프리카에 10,548명, 중남미에 111,156명, 중동에 25,048명, 중앙아시아에 299,791명, 호주 및 뉴질랜드에 187,392명 등 6대륙 175개국에 거주하고 있다.
  •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분포현황 이미지
  •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분포현황 안내이미지]